외국어를 공부하다가 느낀점
웹만들기라는 주제, 갑자기 왠 외국어를 공부하다가 느낀점일까 할 것이다.
현재나는 한국어를 제외하고, 외국어로써 능숙하게 2개국어(영어, 베트남어)를 하고 이것이 나의 주된 밥 벌이가 되는 원인 중에 하나인 것 같다.
엄밀하게 말하면 공부하다가 느낀점이라기 보다는 "외국어를 공부하고 활용"하면서 느낀점이다.
처음에는 누구나 그렇듯이 단어와 문법을 익히게 되고, 그 후에 일상적인 말들과 자기 의견을 말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면 그언어에 대해 약 "중급" 정도에 이르렀다고 생각한다.
- 이부분은 외국어의 활용부분이지 시험을 잘치는 것 따위는 신경쓰지 않겠다. -언어는 엄청나게 현실적인 기술이다.-
- 해당 외국어로 몇 마디만 나눠봐도 그사람이 어느정도 수준인지 바로 알아차릴 수 있다.-
중급에서 고급으로 넘어가면 어떤 상황을 만나게 될까. 그것은 바로 "언어간의 괴리"이다.
외국어 간에는 단어가 정확히 1:1 매치가 되지 않는다. 또한 단어라는 것이 원색적/본질의 그대로의 의미만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떤 색과 냄새 즉 어감을 같게 된다.
이러한 어감이 문법적인 질감과 매치되어 어떤 특유한 향이 나는 문장이 완성되는데, 이러한 것의 경우 다른 외국어로 뜻과 느낌을 온전히 이전하기가 참 어렵다.
나는 이해가 가는데, 그걸 번역/통역해서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기가 어렵고, 설령 잘 전달하더라도 정서가 맞지 않아 듣는 사람입장에서는 이해하거나 받아들이들이는 데 문제가 생긴다.

첫 안드로이드 자바 - 그러나 얼마안되는 수익
사실 오늘은,
-올해 초에 한참 열정을 불태우며 2개월 정도 공부하였던 안드로이드-자바와 그후에 1개월 정도 노력하여 만들었던 2가지 정도의 앱. 그후 사용자의 needs 를 모르고 그저 만들고 싶은 것을 만든 자의 저조한 admob 수익에 대한 좌절과 열정 급감에 대한 이야기
그리고 몇달 정도 사그라든 열정 이후에 다시 생긴 웹(HTML/CSS/JAVA SCRIPT)대한 지적 호기심 - 현재 유튜브 동영상 강의는 쭉 다 훑어 보았다. (어제 새벽 2시에 잠들고, 지금 사무실에서 비몽사몽하여 글쓰는 중 ㅎ)
물론 예제는 낮에 HTML 중심으로만 해보고, CSS 및 JAVA SCRIPT 는 이동 및 저녁에 소파에 누워 대략적인 개념을 훑어 봤다. -웹 개발 흐름파악
유투브에 생활코딩 이라는 채널에서 구독하였고, 오픈 튜토리얼도 운영자님이 진행하고 계셔서 참고중에 있다. 물론, 내가 만든 앱 2가지도 수준이 낮은 쓰레기 앱이다. 하지만 작게나마 개발을 해보면서, 자바 적으로 - 변수/메소드/조건문/반복문 등 기초가 되는 '문법'이라고 해야할까, 이런 것들에 대한 조금의 이해가 생기고, (사실 안드로이드 메인화면을 구성하는 것은 이제 도가 텄다.) 프로그래밍 적인 부분에서 한계에 부딪히고, 인터넷을 통해 검색하면서 극복해 나가는 과정을 거치면서 내 수준을 알게 되고 그것을 어떻게 높일 수 있는 것인지, 계속적인 프로젝트가 있어야 내가 나의 한계를 느끼고 또 돌파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.
물론, 프로그래밍 적으로도 부족하지만(특히, 큰 흐름을 만드는 것은 그나마 할만한데, 디테일한 것들 - 예를 들어 숫자 입력값 천단위 마다 콤마를 붙여주는 등) 특히 디자인 쪽은 또 완전한 다른영역이자 넘사벽 이었다.

처음에 안드로이드 앱을 만들때는:
이런이런 것이 필요하겠다 >안드로이드 프로그래밍-틀만잡고 > 자바 프로그래밍 - 구현하고 > 디자인 같다붙이고 > 어떻게 광고할까?
정도의 순서 였던 것 같은데, 사실 경영학을 전공하고 특히 마케팅이 최애과목이였던 내가 이런 순서를 탔다는게 돌아보니 참 부끄러운 것 같다.
(마케팅 전략 단계)
사실은 시장의 니즈를 찾고 > 이 NEEDS의 핵심가치가 무엇이어서, WANTS로 어떻게 승화시키고 > DEMAND가 있는 고객 규모는 얼마나 되고 >
(개발단계)
이런 것을 실행할 기획 > 디자인... 이 과정을 다 거치고 나서 프로그램밍(사실, 기획 - 디자인 - 프로그램밍의 순서로 개발된다는 것은 자바를 공부하면서 알았다. 실컷 프로그래밍 다해놨는데, 클라이언트 요구가 바뀌어서 수정할려면 처음부터 만드는 것 보다 힘들때도 있다고 해서) 을 진행하는 테크를 탔어야 했는데..!
사실 처음 개발을 해보고, 독학으로 1인 개발을 하다보니 시행착오도 많은 것 같다.
그러나, 이 과정들이 상당히 흥미롭고 재밌으며, 엔돌핀이 솓는다. 무언가에 집중해서 답을 찾으려 탐구하고 갈망하는 것은 마치 나의 엄청난 결핍을 충족시켜주는 기분이 든다.

HTML/CSS/JAVA SCRIPT
우선은 이 웹의 3요소를 훑어보았고, 제이쿼리도 - 그런게 있다는 정도의 약간의 "사파" 느낌이 나는 .. 것도 훑어 보았으니, 이 기본 3요소를 한번 다지고 올라가야겠다는 생각이 든다.
HTML/CSS 의 API DOCUMENT 를 살펴보니, 내용도 그렇게 많지 않아 한번 정리하는 포스팅을 하고, 노트도 되면서 한번 상세하게 훑어보는 포스팅을 해보고 싶다.
사실 교만한 말 일수도 있지만, JAVA SCRIPT의 경우 변수나 객체 생성하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.
"뭐?? 저렇게 간단하게 된다고??"
자바를 하다가 자바스크립트를 보니 뭔 사기당한 기분이었다. 물론 파이썬도 대충 앞부분만 봤는데, 겁나 쉽게 되어있긴 하더라만,, 그에 만만치 않게 좀 쉬워 보였다.
반면에 자료가 많아지고 복잡해지게되면 정리하기 어렵겠다는 생각도 들었다. (Id, class 등의 선택자 관리가 어려워 보였어.. @_@ 나중에 다른 웹들을 보면서 어떻게 정리해놨는지 확인해봐야겠다.)
그래!
쉽다고 간과하면 안되지!
JAVA SCRIPT에 대한 부분도 정리를 하는 포스팅을 하고 박제 해놓아야겠다. ㅎ
나도 보고 다른사람들도 보고 - 웹의 공간에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야말로 지식혁명 아니겠는가.!

'취미생활 > 블로그운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유효키워드 찾는법 - 00.유표키워드 중요성 (1) | 2020.06.27 |
---|---|
블로그 애드센스 광고게시(애드고시 합격) (0) | 2020.06.24 |
(블로그 6개월차) 나도 하루 1000명 방문하는 블로그가 되고 싶다. (0) | 2020.06.23 |
(블로그) 3개월차 티스토리 블로그 애드핏 광고 수익공개!! (0) | 2020.02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