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료 출처 :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u3Ph_M2bySg&t=299s
(노마드 코더 유튜브)
자바 - 안드로이드 네이티브를 공부하다가 문뜩 웹서비스 제작에 대한 관심이 생겨 위의 "노마드 코더" 유투브 채널을 구독하고 보던 중에 혹시 나와 같은 초보 중에 이 유투버를 모르거나, 또는 웹 서비스 구현에 사용되는 무료 툴을 모르는 사람이 있을 것 같아 아래에 관련 정보 및 링크를 공유한다.
( 나 또한 기억하고 정리하기 위한 목적이다.)
아래의 사항들은 위의 유튜버가 공유한 사항이며, 나도 배우는 사람으로써 공유하고자 하며 명확히 출처를 밝힌다.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!
//제작과정
1. 기획
: 아이디어 정리, 체크 리스트 정리, 링크 붙여넣기, 협업 툴, 각자에게 역할주기, 기획 및 정리
2. 디자인
:(나는 이미 사용중) 스케치, 일러스트레이트와 같은 툴로, 온라인 오프라인(다운로드) 사용이 가능
웹 어셈블리로 만들어진 툴로, UI를 빠르게 디자인 해볼 수 있고, 프로토타입을 빠르게 작성해볼 수 있음
(뭔말이냐면, 화면을 만들고, 버튼 등을 만들고, 버튼을 눌렀을 때 "어떻게 이동한다", "어떤 화면이 나온다".. 요런 것을 쉽게 구현함- 당연히 코딩은 해야하는 것이고 그런 구동 기획을 세우기에 편리함)
제작하고 다운로드, CSS, 안드로이드, IOS로 내보내기도 가능, 리얼타임으로 협업가능
3. 사진
:고퀄, 무료
4. 코드 에디터
https://code.visualstudio.com/
:Visual Studio도 쓰지만, 나는 Atom 쓰고 있음(근데 잡 오류가 좀 보임)
5. CSS 라이브러리
https://tailwindcss.com https://bulma.io .
노마드코더 형은 쓰지 말랬지만 아래의 2가지도 보편적이다.
: Bootstrap4(템플릿 무료-유료 제공), Foundation
6. 깃 저장소
https://bitbucket.org/product .
: 코드 업데이트하여 버전 관리
혼자 관리할 것이면 github 그리고 팀과 협업한다면 BitBucket 또는 GitLab
7. 클라이언트
https://insomnia.rest (REST)
https://altair.sirmuel.design (GraphQL) .
API를 만들어야 할때, 엔드 포인트 테스트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
//기능구현
1. 검색엔진
: 검색엔진 기능을 추가해준다.
2. 유저 비밀번호 관리
https://aws.amazon.com/ko/cognito/ .
: 로그인, 로그아웃, 소셜네트워크와의 연동
- 차이점은 aws는 아마존 것이므로 아마존 작업을 한다면 추천
3. 이메일
:mailgun - 트랜잭션 이메일 : 트리거, 이벤트 이 후 발송되는 이메일, 한달에 1만통 무료
(예를 들면, 웹사이트에 회원가입 등을 할때, 자동으로 '이메일 인증' 관련 이메일을 보내는 것 등)
:mailchimp - 마케팅용 이메일 서비스: 뉴스레터 발송(무료/유료 플랜있음)
4. SSL Certificate
: 웹사이트 보안 용, HTTPS에 필요. 웹사이트에 HTTPS를 달고 싶다면 사용
5. 백엔드
: 백엔드 끝나고 올리는 곳, 5분안에 디플로이 가능 (heroku)
:aws의 경우, 가입하면 1년간 무료
6. 프론트엔드
: 프론트엔드 디플로이용, 무료이며 빠르고 특히 static 처리시에 그러함
7. 서버리스
https://aws.amazon.com/lambda/
https://cloud.google.com/functions/ .
: 아마존 람다 : 한달에 1M free request per month:구글 클라우드
8. 데이터베이스,
https://aws.amazon.com/dynamodb/
https://cloud.google.com/firestore/
https://www.mongodb.com/cloud/atlas
:아마존 - 25기가 스토리지 무료제공
:구글 - 1기가 제공
9. 파일 업로드
https://cloud.google.com/storage/
사용자가 사진이나 기타 자료를 업로드 할때!
: 구글 - 5기가 무료
:coudinary - 사진 저장에 최적화, 사진 용량 압축, 편집, 자르기 등등 기능을 제공
10. 에러 리포팅
: 웹사이트에 에러가 발생하면, 누구에게, 언제, 어떤 에러가 발생했는지 이메일로 보내줌
- 누가 사용하여,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알 수 있고, 에러를 고칠 수 있게 도와줌
11. 채팅
: 직접 코딩할 필요없이, 채팅 기능을 웹사이트에 쉽게 만들 수 있음. 리얼타임 걱정안해도 됨. 무료 플랜이 매력적
이건 진짜 꼭 해봐야겠다. 이정도면 단계적인 성장에 사용 가능할 것 같다.
12. 푸쉬알림
: 알림 기능( 웹, 모바일 푸쉬)
13. 피드
: 인스타 피드나, 누가 누구를 팔로잉 하고, 댓글을 남겼고 하는 등의 기능 구현
14. 분석
: 구글이 킹왕짱
:hotjar은 유저가 어떻게 웹사이트를 쓰는지 볼 수 있음
:mixpanel 을 활용하면 유저의 aictivity를 잘 볼 수 있다.
15. 시간관리 https://wakatime.com/
: VSC 익스텐션중의 하나로, 얼마나 많은 시간을 어떤 코딩 업무에 많이 썼는지 그래프로 보여줌
이정도면 돈한푼 안드리고, 한번 해볼 수 있을 것 같다.
물론, 도메인 구매료는 내야겠지 1년에 35불인가..
그정도는 우리의 재미/취미를 위해서라면 쓸만한 금액이지 않을까?
그럼 다들 성공하시고, 굿잡!
'취미생활 > 안드로이드 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5살 초보 개발자(1인/취미)의 안드로이드 앱 개발 노트 (2020.01월 부터 07월까지의 일들) (12) | 2020.07.17 |
---|---|
국내 안드로이드 폰 수명주기 및 연도별 안드로이드 API 버전 (0) | 2020.07.07 |
(안드로이드) 스토어 등록 후 검색 결과 안나올 때 (0) | 2020.01.23 |
(앱개발) 앱출시 14일차 수익공개 (2) | 2020.01.21 |
(앱개발) 안드로이드 앱 개발 입문 삽질 과정 (0) | 2020.01.21 |